맨위로가기

세탁 세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탁 세제는 의류 등 직물의 세탁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 물질이다.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비누 재료 부족으로 인해 합성 세제가 개발되었다. 세탁 세제는 계면활성제, 빌더, 표백제, 효소 등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며, 오염 물질 제거, 표백, 얼룩 제거 등의 기능을 한다. 초기 합성 세제는 환경 문제를 야기했으나, 이후 생분해성 향상, 인산염 규제 등 개선 노력이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액체 세제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탁 세제 - 퍼실
    퍼실은 헨켈이 1907년 출시한 세탁세제로, 표백제와 세제를 결합한 최초의 상업용 제품이며, 분말, 액체, 캡슐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전 세계적으로 판매되고 있고, 헨켈과 유니레버가 지역에 따라 독자적으로 브랜드를 운영하며 상표권 분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제품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 세탁 세제 - 타이드 (브랜드)
    타이드는 1946년 프록터 앤드 갬블이 출시한 세계 최초의 강력 합성 세제로, 액체 세제 시장을 확장하며 주황색과 노란색의 과녁 모양 로고로 널리 알려져 있다.
  • 독일의 발명품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독일의 발명품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 20세기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20세기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세탁 세제
개요
세탁 세제 가루
세탁 세제 가루
세탁 세제 포드
세탁 세제 포드
유형세제
용도세탁
상세 정보
주요 성분계면활성제
빌더 (세정력 강화제)
효소
표백제
형광증백제
향료
형태가루 세제
액체 세제
시트형 세제
캡슐 세제 (포드 세제)
작용 메커니즘계면활성제의 계면 활성 작용으로 때를 분리하고, 빌더가 세척력을 보조하며, 효소가 단백질/지방 오염물을 분해하고, 표백제가 얼룩을 제거
환경 영향계면활성제의 생분해성 문제
인산염 빌더의 부영양화 유발
미세 플라스틱 발생 (캡슐 세제)
주의 사항피부 자극 및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특히 캡슐 세제)
과다 사용 시 환경 오염 및 세탁물 손상
역사
기원비누
발전20세기 초 합성 계면활성제 기반 세제 개발
현대효소, 표백제, 형광 증백제 등 다양한 첨가제 사용
규제
대한민국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 따른 품질 표시 의무
일본생활용품 품질표시법에 따른 품질 표시 의무
관련 용어
관련 제품섬유 유연제
표백제
얼룩 제거제
관련 기술세탁기
관련 법규환경 관련 법규

2. 역사

세탁 세제의 역사는 인류가 옷감을 세탁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대에는 비누와 비슷한 물질이 사용되었으며,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2800년경 바빌론에서 발견되었다.[24] 제1차 세계 대전독일에서는 비누 부족으로 합성 세제가 개발되었고,[25][2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가정용 세제 사용이 증가했다. 일본에서는 1937년 최초의 중성 세제가 출시되었고, 1952년에는 합성 세제가 널리 보급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합성 세제가 보급되기 시작했다.

2. 1. 고대

고대부터 옷감의 섬유를 물로 기계적으로 세탁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화학 첨가물이 사용되었다. 비누와 비슷한 물질을 생산했다는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2800년경 고대 바빌론에서 찾을 수 있다.[24]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독일

제1차 세계 대전독일은 연합군의 봉쇄로 비누 재료가 부족해졌다.[25][26] 1917년 독일 화학 회사들은 알킬설페이트 계면활성제를 기반으로 한 합성 세제를 개발하여 비누 대용품으로 사용했다.[25][26] 이는 병사들의 군복 세탁에 사용되었다. 1930년대에는 지방 알코올의 상업적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유기 황산염 기반 세제가 등장했다. BASF의 FEWA와 P&G의 Dreft가 대표적이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항공 연료 공장이 가정용 화학제품 세제 생산에 사용되면서 1940년대 후반부터 가정용 세제 사용이 급격히 증가했다.[1]

2. 4. 일본

일본에서는 1937년 제일 공업 제약의 모노겐이라는 울용 중성 세제가 처음 출시되었다. 1952년에는 가오 (당시 가오 비누)에서 일본 최초로 약 알칼리성 합성 세제인 '가오 가루 세탁'(이후 '가오 원더풀')을 출시하면서, 세탁 세제는 비누를 대체하여 널리 보급되었다.[16]

2. 5.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고도 경제 성장과 함께 세탁기와 합성 세제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수질 오염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으나, 기술 개발과 환경 규제 강화를 통해 점차 개선되었다.

3. 세탁 세제의 성분

세탁 세제는 계면활성제(15%), 표백제(7%), 효소(2%), 빌더(약 50%) 등 다양한 화학 성분으로 구성되며, 이 외에도 침전 방지제, 부식 방지제, 광학 증백제, 염료 이염 방지제, 향료, 염료, 충전제, 제제 보조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2] 각 성분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여 세척 효과를 높인다.

1913년 오토 룀은 세탁 세제에 효소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입했다. 최초의 제제는 도살된 동물에서 추출한 췌장 추출물이었으나, 알칼리 및 표백에 불안정했다. 이 기술은 열적으로 견고한 세균 효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된 세기 후반에 주류가 되었다.[2]

상업용 또는 산업용 세탁소에서는 최종 헹굼 과정에서 남아있는 알칼리성 계면활성제를 중화하고 산에 민감한 얼룩을 제거하기 위해 세탁 산을 사용할 수 있다.

3. 1. 빌더 (Builders)

빌더는 연수제의 일종으로, 킬레이트제 또는 격리제라고도 불린다. 가정용 수도에는 미네랄이 녹아 있는데, 특히 경수 지역에서는 칼슘, 마그네슘 이온과 같은 금속 양이온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 이온들은 계면활성제와 반응하여 비누 찌꺼기를 형성하는데, 이는 세척 효과를 떨어뜨리고 섬유나 세탁기 부품에 침전될 수 있다. 빌더는 침전, 킬레이션, 이온 교환 등의 방법으로 이러한 미네랄 이온을 제거하여 경수를 연수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분산 작용을 통해 오염 물질 제거를 돕는다.[2]

초기에는 탄산 나트륨(세탁 소다)과 규산 나트륨(물유리)이 빌더로 사용되었다. 1930년대에는 인산염(인산나트륨)과 폴리인산염(헥사메타인산 나트륨)이 도입되었고, 이후 포스폰산염(HEDP, ATMP, EDTMP)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 기반 물질들은 영양 오염을 일으켜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많은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에 따라 폴리카르복실레이트(EDTA, NTA), 시트르산염(구연산 삼나트륨), 규산염(규산 나트륨), 글루콘산, 폴리아크릴산과 같은 무인 물질이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이온 교환 물질이 개발되었다.[2]

알칼리 빌더는 세탁액의 pH를 조절하여 세척력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과 같은 친수성 섬유는 물에서 음전하를 띠는 경향이 있고, 합성 섬유는 중성이다.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흡착되면 음전하가 더욱 강해진다. pH가 높아질수록 섬유와 오염 물질은 더욱 음전하를 띠게 되어 서로 반발력이 커진다. 효과적인 세척을 위한 최적의 pH 범위는 9~10.5이다.[3] 알칼리는 또한 지방의 비누화 반응을 촉진하여 세척 성능을 높인다.

빌더와 계면활성제는 함께 작용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하며, 빌더의 세척 효과가 계면활성제보다 더 클 수도 있다. , ,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친수성 섬유의 경우,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이 계면활성제 단독보다 오염 물질 제거에 더 효과적이다. 폴리에스터나 폴리올레핀과 같은 소수성 섬유의 경우, 계면활성제의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4]

3. 2. 계면활성제 (Surfactants)

계면활성제는 세탁 세제의 세척 성능 대부분을 담당한다. 물의 표면 장력을 낮춰 흙이 물에 흡착되고 유화되어 오염이 제거되도록 돕는다.[2]

음이온 계면활성제: 분지형 알킬벤젠설포네이트, 선형 알킬벤젠설포네이트 및 비누


세탁 세제는 주로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세제와 잘 맞지 않고 세척 효율이 낮아, 섬유 유연제 등 특수 목적에만 쓰인다.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가격 때문에 세탁 세제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세제는 여러 계면활성제를 섞어 성능을 맞춘다.[2]

1950년대까지 비누가 주된 계면활성제였으나, 이후 "합성 세제"(syndets)가 비누를 대체했다.[5][6] 1960년대 중반, 생분해성이 낮은 분지형 알킬벤젠설포네이트는 선형 알킬벤젠설포네이트(LAS)로 대체되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SDS 같은 알킬 황산염이 LAS를 대체하여 사용량이 늘었다.[2]

1970년대 이후,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증가했다. 1990년대에는 글루카마이드가 공계면활성제로,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는 고급 섬유용 특수 세제에 사용되기 시작했다.[2]

3. 3. 표백제 (Bleaches)

이름과는 달리, 현대의 세탁 표백제는 가정용 표백제(차아염소산 나트륨)를 포함하지 않는다. 세탁 표백제는 일반적으로 과산화 수소의 안정적인 부착물로, 과붕산 나트륨과 과탄산 나트륨 등이 해당된다. 이들은 고체 상태에서는 비활성이지만 물에 노출되면 과산화 수소를 방출한다. 표백제의 주요 목표는 산화 가능한 유기 얼룩으로, 일반적으로 식물 기원(예: 엽록소, 안토시아닌 염료, 탄닌, 부식산, 카로티노이드 색소)이다.[2] 과산화 수소는 60°C 미만의 온도에서는 표백제로서의 활성이 충분하지 않아서, 전통적으로 뜨거운 물로 세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표백 활성제가 개발되면서 더 낮은 세탁 온도에서도 효과를 볼 수 있게 되었다.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과 같은 이 화합물들은 과산화 수소와 반응하여 과아세트산을 생성하며, 이는 특히 저온에서 더욱 효과적인 표백제이다.[2]

3. 4. 효소 (Enzymes)

효소는 단백질(예: 우유, 코코아, 혈액, 달걀 노른자, 풀), 지방(예: 초콜릿, 지방, 오일), 전분(예: 밀가루와 감자 얼룩), 섬유소(손상된 면 섬유와 채소 및 과일 얼룩)로 구성된 고착된 얼룩을 분해하는 데 필요하다.[2] 각 유형의 얼룩에는 서로 다른 유형의 효소가 필요하다. 단백질 분해 효소(사비나제)는 단백질, 리파아제는 기름, α-아밀라아제는 탄수화물, 셀룰라아제는 섬유소에 사용된다.[2]

3. 5. 기타 성분

거품 안정제 또는 거품 방지제를 통해 제품의 거품 특성을 조절한다.[2] 다른 성분들은 용액의 점도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다른 성분들을 용해시킨다. 부식 방지제는 세탁 장비의 손상을 방지한다.[2] 염료 이염 방지제는 한 의류에서 다른 의류로 염료가 이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반적으로 염료가 우선적으로 결합하는 극성 분자인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수용성 고분자이다.[2]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재오염 방지제는 미세한 토양 입자가 세탁되는 제품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2]

형광 증백제, 섬유 유연제, 착색제 같은 여러 성분들이 세탁될 품목이나 세제 자체의 미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 전 또는 사용 중에 첨가된다. 다양한 향료 또한 현대 세제의 구성 요소이며, 다른 구성 요소와 호환되고 세탁된 품목의 색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향료는 일반적으로 많은 화합물의 혼합물이며, 일반적인 종류로는 테르펜 알코올(시트러넬롤, 제라니올, 리날로올, 네롤)과 그 에스테르(리날릴 아세테이트), 방향족 알데히드(헬리오날, 헥실 신남알데히드, 릴리알) 및 합성 머스크(갤럭시라이드)가 있다.

4. 오염 물질 (Soils)

세탁 과정에서 제거해야 할 오염 물질은 다양하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세제 성분이 필요하다. 주요 오염 물질은 다음과 같다.[2]



제거하기 어려운 오염물은 안료염료, 지방, 수지, 타르, 왁스 및 변성 단백질이다.[2]

4. 1. 수용성 오염 물질

세탁은 섬유 표면에서 혼합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화학적 관점에서 오염물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4. 2. 고체 입자 오염 물질

, 금속 산화물, 그을음(카본 블랙), 탄산염, 규산염, 부식토와 같은 고체 입자 오염물이 있다.[2]

4. 3. 소수성 오염 물질

화학적 관점에서 소수성 오염물에는 동물성 지방, 식물성 기름, 피지, 광유, 그리스 등이 있다.[2]

4. 4. 단백질성 오염 물질

단백질성 오염물에는 혈액, 달걀, 우유, 피부의 케라틴 등이 있다. 이러한 오염물은 계면활성제로 제거하기 전에 효소, 열 또는 알칼리를 통해 가수분해하고 변성시켜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야 한다.[2]

4. 5. 표백 가능 얼룩

와인, 커피, , 과일 주스, 채소 얼룩은 표백 가능한 얼룩이다. 표백은 색상이 있는 물질을 무색으로 바꾸는 산화 반응으로, 섬유에 남아 있거나 세탁하기 더 쉬울 수 있다.[2]

5. 환경 문제

초기 합성 세제는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었다. 1950년대부터 세탁 세제 속 인산염은 환경 문제로 지적되었고, 이후 여러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7] 인산염은 세탁 효과를 높이지만, 하수 처리가 미흡한 경우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주범이었다.[8]

향이 첨가된 세탁 제품에서는 드라이어 환풍구를 통해 25가지 이상의 VOC이 배출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 중에는 유해 대기 오염 물질(HAP)로 분류되는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에탄올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아세트알데히드와 벤젠은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9]

EEC 지침 73/404/EEC는 세제에 사용되는 모든 계면활성제에 대해 평균 90% 이상의 생분해성을 갖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오스트리아,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세제의 인산염 함량을 규제하고 있다.[7]

5. 1. 과거의 수환경 문제점 (일본)

일본에서는 출시 당시 하수도 보급률이 낮아, 폐수가 하수 처리되지 않은 채 하천으로 흘러들어갔다. 이로 인해 분해되기 어려운 성분인 분지쇄형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ABS)이 물속에 오래 남아 하천과 호소에서 거품이 관찰되었다. 이 ABS는 플라스틱의 일종인 ABS 수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경수칼슘 성분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인산염이 포함된 세제는 비료로 작용하여 연못이나 하천 물의 부영양화를 일으켜, 수초가 과도하게 번식하여 수질 악화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 고도 경제 성장 시대를 맞이하면서 일반 가정의 생활 양식이 일변하여, 컬러 텔레비전, 전기 냉장고와 함께 전기 세탁기가 폭발적으로 보급되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대도시도쿄도오사카부를 포함하여, 하수도의 보급이 다른 선진국보다 늦었기 때문에, 가정에서 배출되는 세탁 세제 폐액이 그대로 흘러나가 각 하천의 하류 지역에서 산더미 같은 거품이 발생하는 등, 세탁 세제에 의한 수질 오염이 사회 문제화되었다.

5. 2. 개선 노력 (일본)

1970년경에는 ABS는 환경 부하가 적은 직쇄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LAS)으로 대체되었다.[15] 1980년 전후에는 인산염 대신 제올라이트효소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 등)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합성 세제는 무인화되었다. 환경에 배출되는 인의 양 중 세제에서 유래하는 것은 10%대로 낮았지만, 배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무인화로 자율적으로 전환했다. 무인화 후에도 기존의 생산 설비를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미량의 인산염이 검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포장에는 그 취지의 설명이 있었다.[15]

일본에서는 합성세제의 개선이 세계를 선도하며, 제조사의 기술 개발 노력으로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오늘날 합성세제의 “상식”으로 여겨지는 이 점들의 거의 전부가 일본에서 개발된 기술이다. 특히 주력했던 곳은 라이온 유지를[15] 꼽을 수 있다.

  • 라이온 「대시」(제1기): 1967년 출시. 주요 계면활성제를 생분해되기 어려운 ABS에서 더 쉽게 생분해되는 알파올레핀설폰산나트륨 (AOS) 계열로 변경했다.

  • 라이온 「세세라기」: 1973년 출시. 조제제인 인산염을 폐지했지만, 세척력 저하가 심했고 평가가 낮았다. 게다가 같은 해 발생한 오일 쇼크의 영향으로, 합성세제 자체가 패닉에 의한 사재기로 인해 품귀 현상을 겪게 되었고, 빨래 비누의 긴급 출하로 부족한 수요를 보충해야 했다는 배경으로 인해, 출시 3개월 만에 판매가 중단되었다.

  • P&G 「무린 전온도 치어」: 1977년 출시. 1973년에 일본 법인을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진출을 시작한 P&G가 처음 직면한 문제는 일본 내 합성세제 기피 여론이었다. 그래서 미국에서 개발된 상품이다. 조제제로 인계 화합물 대신 수질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제올라이트를 사용했다. 세계에서 두 번째 상품이다. 그러나 역시 세척력 저하는 극복하기 어려웠고, 처음에는 "미국제 고성능 세제"로 일본 시장에 진입한 "치어"는 후술할 "톱"의 등장 이후 경쟁에서 밀려나게 된다.

  • 라이온 「무린 톱」: 1980년 출시. 인계 화합물을 대체하는 조제제로 효소를 사용한 세계 최초의 합성세제로 출시되었다. 유린 세제보다 뛰어난 세척력을 가진 것으로 순식간에 시장을 석권했고, 경쟁사들도 조기에 무린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이후 "톱"은 동사의 세탁용 합성세제의 톱 브랜드명이 되었다.

5. 3. 국제적인 규제

EEC 지침 73/404/EEC는 세제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계면활성제에 대해 평균 90% 이상의 생분해성을 규정하고 있다.[7] 오스트리아,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세제의 인산염 함량이 규제되고 있다.

5. 4.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도 1990년대 이후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세제 제조업체들은 친환경 세제 개발에 힘쓰고 있다.[7][8] 환경부는 세제에 대한 환경 표지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친환경 세제를 선택하여 환경 보호에 동참할 수 있다.

과거 분지쇄형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ABS)이 함유된 세제가 하천호소에서 거품을 발생시키고, 인산염이 함유된 세제가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등 수질 오염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직쇄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LAS)으로 대체[11]되고, 1980년제올라이트효소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무인화가 이루어졌다.

1999년 공포된 PRTR법은 6종류의 합성 세제 성분 (LAS, AO, DAC, AE, OPE, NPE)을 제1종 지정 화학 물질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13]

성분명설명
LAS직쇄 알킬벤젠설폰산 및 염
AON,N-디메틸라우릴아민=N-옥시드
DAC비스수소화우지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AE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OPE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NPE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농협, 어협, 생협은 1981년부터 협동 조합 비누 운동 연락회(협석련)를 조직하여 비누 이용을 촉구하고 있다.[14]

6. 시장 동향

전 세계적으로 액체 세제와 가루 세제가 가치 측면에서 거의 동일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가루 세제가 더 널리 사용된다. 2018년 가루 세제 판매량은 14000000ton으로, 액체 세제의 두 배에 달했다. 액체 세제는 많은 서구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는 반면, 가루 세제는 아프리카, 인도, 중국, 라틴 아메리카 및 기타 신흥 시장에서 인기가 있다. 가루 세제는 또한 옷을 희게 하는 데 있어 액체 세제보다 우위에 있어 동유럽과 일부 서유럽 국가에서도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화학 공장 및 세제 제조 장비의 설계 및 시공업체인 Desmet Ballestra에 따르면, 가루 세제는 서유럽에서 30~35%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Lubrizol에 따르면, 가루 세제 시장은 연간 2% 성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0년대 이후 액체 세제의 사용량이 가루 세제를 추월하여 주류가 되었다. 이는 드럼 세탁기의 보급 확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참조

[1] 간행물 An economical of the development of substitutes with some illustrative examples and implications for the beef industry http://ageconsearch.[...] University of Minnesota 1975-07
[2]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
[3] 논문 Development of Surfactants and Builders in Detergent Formulations http://www.cjche.com[...]
[4] 서적 Cationic Surfactants: Physic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0-10-23
[5] 논문 Syndets and Soaps 1959-01
[6] 논문 50th ANNIVERSARY FEATURE—Fifty Years of Detergent Progress 1958-08
[7] 웹사이트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PHOSPHATE DETERGENT CONFLICT http://www.colorado.[...] CONFLICT RESEARCH CONSORTIUM 1994-02
[8] 논문 Synthetic detergents: 100 years of history 2017-02
[9] 간행물 Chemical Emissions from Residential Dryer Vents During Use of Fragranced Laundry Products https://link.springe[...] 2013-03
[10] 웹사이트 雑貨工業品品質表示規程 http://www.caa.go.jp[...] 消費者庁 2013-05-23
[11] 웹사이트 もっと良く知ってほしい洗剤 http://jsda.org/w/01[...] 日本石鹸洗剤工業会
[12] 웹사이트 合成洗剤(界面活性剤)の水辺環境に及ぼす影響 http://www2.kankyo.m[...] 東京都環境科学研究所
[13] 웹사이트 特定化学物質の環境への排出量の把握等及び管理の改善の促進に関する法律に基づく第一種指定化学物質及び第二種指定化学物質の指定について(答申)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洗剤と水環境 http://www.coopnet.j[...] コープネット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웹사이트 ヤシノミ洗剤の歴史 https://www.yashinom[...] サラヤ 2018-05-14
[20] 웹사이트 人と地球にやさしいヤシノミシリーズ https://family.saray[...] サラヤ 2018-05-14
[21] 뉴스 学研が危険な付録 中性洗剤のシャボン玉 中國新聞 1971-07-27
[22] 웹사이트 洗剤の安全性と環境問題 http://liv.ed.ynu.ac[...] 大矢勝研究室 「洗浄・洗剤の科学」のページ
[23] 웹사이트 洗剤の安全性・環境適合性 http://jsda.org/w/02[...] 日本石鹸洗剤工業会
[24] 서적 Poucher's Perfumes, Cosmetics and Soap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5] 웹인용 Almost extinct in the US, powdered laundry detergents thrive elsewhere in the world https://cen.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9-01-27
[26] 인용 An economical of the development of substitutes with some illustrative examples and implications for the beef industry http://ageconsearch.[...] University of Minnesota 197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